환경영향평가사 취득을 위한 몇가지 확인사항을 확인해 보고 관련된 사이트 및 참고 할 만한 사항들을 객관적인 사항과 제 주관적인 관점에서 소개 해 드리고자 합니다. 특히 제 주관적인 부분은 사람 개개인마다 특색,특성,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 함에 있어서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1. 자격기준 확인
환경영향평가사 시험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전에 시험 자격등이 되는 지 알아보고 시작 하는 것이 좋습니다. 시험자격에 대한 부분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운영중인 환경영향평가사 자격검정 환경영향평가사 (ceia.re.kr)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환경분야 기술사 취득자
- 환경분야 기사 취득자 : 4년이상 실무경험자
- 환경분야 산업기사 취득자 : 5년이상 실무경험자
- 환경관련 대학졸업자 : 6년이상 실무경험자
- 비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: 7년이상 실무경험자
- 9급 이상 공무원 : 5년이상 실무경험자
- 5급 이상 공무원 : 3년이상 실무경험자
※환경관련 학과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 과정을 이수한 경우 각각 최대 2년까지 환경분야 실무(업무) 경력으로 인정
저의 경우에는 환경분야 기술사 취득자로 대상이 되었지만 만약 기술사 취득을 하지 않았더라도 비 관련학과 대학졸업자 7년이상 실무 경험자로 시험볼 수 있는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. 특히 환경관련 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 과정을 이수한 경우 최대 2년까지 실무 경력으로 인정 되니 이점 참고하세요^^
2. 시험과목
시험과목은 총 4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환경정책은 국가환경정책 전반에 대하여 출제 되므로 그때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환경정책 또는 법안 등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탄소중립 정책, 그린뉴딜, 국가환경 기본계획 등 을 숙지 하셔야 합니다. 저에게는 국토환경계획에서 나온 용어들이 많이 생소해서 인터넷 검색으로 관련자료를 많이 보았습니다. 지구단위계획, 도시군지구단위계획, 용도지역, 용도구역 등 개발과 관련된 사항등을 꼼꼼히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.
영향평가 제도는 법규라 외워야 하는 부분이고, 환경영향평가 실무가 또하나의 큰 장벽으로 다가오는데 이 부분은 제가 차차 포스팅으로 최대한 풀어 내도록 하겠으니 기다려 주세요.
3. 검정방법 및 합격기준
검벙밥법은 기술사와 마찬가지로 필기시험 및 면접시험으로 구성됩니다.
보통 1년에 2회씩 보는데 '22년~'23년은 3회씩 늘어나 다소 많은 인원들이 배출될 예정입니다. 시험 결과는 한달 안에 나오고 저의 경우 1차 시험은 첫 시험에 합격하게 되어 운이 좋은 경우였다고 말씀 드릴수 있겠습니다. 제가 아는 주변 분들은 보통 3회~4회 정도 이상 꾸준히 보신분들은 합격한 경우가 많이 있더라구요.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언젠가는 합격하는 것이 환경영향평가사 입니다
지금까지는 기본적인 시험의 자격 및 구성 시험 방법을 살펴 보았습니다.
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이용하시면 더욱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.
환경영향평가사 합격 노하우, 환경영향평가사 공부방법
안녕하세요? 이번 시간에는 환경영향평가사 합격 노하우에 대하여 작성 해 보겠습니다. 즉 공부하는 방법과...
blog.naver.com
'환경영향평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술사 시험용 볼펜 : 제트스트림 JETSTREAM 1.0mm +엔젤그립 (0) | 2022.12.17 |
---|---|
환경영향평가사 기출문제 모음(제1회~제19회) (1) | 2022.12.15 |
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탄소 중립의 개념,목적,주요 내용. (2) | 2022.12.14 |
환경영향평가사 합격 취득 노하우(참고 사이트) - 3 (0) | 2022.12.13 |
환경영향평가사 합격 취득 노하우 - 1 (0) | 2022.12.11 |